고대 건축, 건축 특징, 건축 역사, 중세 건물 (20) 썸네일형 리스트형 피라미드의 완성과 기자의 피라미드 피라미드의 완성과 기자의 피라미드 기자의 피라미드 군은 우리가 보통 지금 아는 그런 대형 피라미드의 대표적인 사이트죠. 3채의, 3기의 피라미드가 여기에 몰려 있습니다. 쿠푸 왕, 카프레 왕, 멘카우레 왕 이 3기의 피라미드가 몰려 있고요. 지금 이게 대표적인 우리가 피라미드를 보통 접할 때 여러 책이나 방송이나 이런 데서 보게 되는 가장 대표적인 장면이죠. 이게 3기의 피라미드가 몰려 있고, 앞에서부터 쿠푸 왕, 카프레 왕, 멘카우레 왕 순서로 되어 있고, 이 중에서 가장 완벽한 게 쿠푸 왕의 피라미드죠. 카프레 왕의 피라미드까지는 아직 완성된 상태가 조금 남아 있다가 멘카우레의 피라미드부터 급격히 쇠퇴하게 되고요. 중왕 국부터는 사실 피라미드가 지어지기는 했는데 유의미한 피라미드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 피라미드 복합단지의 구성 요소와 기능 피라미드 복합단지의 구성 요소와 기능 피라미드 복합체 여기에는 일단 피라미드 복합체의 구성을 봐야 되고요. 이 구성을 얘기하다 보면 피라미드가 갖는 다섯 가지 기능을 자연스럽게 이해하실 수 있게 됩니다. 피라미드는 일단 피라미드 형태, 정사각뿔이 물론 가장 중심 체고, 가장 거대하고요. 그 주변의 여러 시설을 거느린 복합체로 이루어집니다. 대표적인 게 장제전이라고 하는 신전이고요. 피라미드 본체 바로 앞에 신전이 하나 있게 됩니다. 피라미드는 기본적으로 무덤 구조이기 때문에 거기에서 제사도 지내고 해야 되기 때문에 제례 의식도 지내야 되기 때문에 그걸 담당하는. 그래서 장례와 제의를 합한 장제전이라고 하는 신전이 있게 되고요. 그다음에 참배로라는 게 있게 됩니다. 그래서 피라미드가 우리가 이해할 때 중요.. 포세이돈 신전과 파르테논 신전의 건축 포세이돈 신전과 파르테논 신전의 건축 고전기를 대표하는 두 신전을 들라고 하면 당연 포세이돈 신전과 파르테논 신전입니다. 포세이돈 신전은 이탈리아 반도의 파에스 툼에 있는 신전이고요. 그러면 고전기를 대표한다는 것은 두 가지 의미입니다. 하나는 앞에서 설명드렸던 그리스 고전 신전의 세 가지 완성 조건. 이제 이걸 잘 갖춘 게 일단은 그래야지 고전기를 대표할 수 있겠죠.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안 되고 그리스 신전은 이러한 세 가지 조건만 갖추었다고 걸작이 탄생되는 게 아니라, 이걸 실제로 현장에서 건물로 짓다 보면 이렇게 이론적으로 책상 위에 종이를 놓고 계획할 때의 생각했던 내용들하고 많이 편차가 발생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 편차를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을 할 것인가. 편차를 잘 다스리지 못하면 건물이 .. 이집트 신왕국과 신전의 시대 이집트 신왕국과 신전의 시대 이집트의 신왕국 이건 우리가 보통 아는 고대 전제 정권 때의, 문명 때의 전쟁이 많았던 그런 시대죠. 중왕 국까 지는 이집트는 큰 전쟁이 없이 안정되게 유지가 되다가 신왕국에 오게 되면 드디어 이집트가 자기네 영토를 뛰어나와서 지중해 일대에 패권주의, 전쟁에 뛰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한테 친숙한 람세스라는 이름이 바로 신왕국 때의 대표적인 파라오의 이름입니다. 제19왕조의 람세스 2세와 20 왕조의 람세스 3세, 이 두 전쟁 영웅들이 연달아 등장을 하면서 전쟁의 시대였고, 영웅의 시대가 되고요. 특히 불패 대왕이라고 불렸던 람세스 2세는 제국 체제를 갖추고 이집트 역사에서 가장 넓은 영토를 개척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서 건축도 변화가 되는데요. 전쟁이 잦아지고 내세 사상이.. 이집트 건축의 특징 - 돌 건축과 기둥의 발전 이집트 건축의 특징 - 돌 건축과 기둥의 발전 이집트 건축의 미시적인 특징, 돌 건축과 기둥의 발전을 보겠습니다. 이집트 건축은 돌을 이용한 고대 거석문화 혹은 거석 구조를 대표하는 그런 문명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우리가 보통 고대 청동기 문명 혹은 고대 오리엔트 대륙 문명 이런 걸 얘기할 때 건축에서 특징을 한마디로 들으라고 하면 거석 구조죠, 거석문화. 돌을 청동기이기 때문에 나중에 나올 그리스 시대 때 철기처럼 돌을 섬세하게 가공은 못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돌을 큰 덩어리로 잘라서 아주 대형 구조물을 짓는 이게 이제 고대 청동기 시대 때 주로 대륙 지역에서 발달한, 해양 지역보다는 대륙 지역에서 발달한 건축적인 특징인데 이걸 우리는 거석문화라고 부릅니다. 이 거석문화의 대표적인 곳이 바로 이집.. 중왕국 - 피라미드의 쇠퇴, 암묘의 등장 중왕국 - 피라미드의 쇠퇴, 암묘의 등장 중왕국 때에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피라미드가 쇠퇴한다는 거죠. 앞에서 설명 드린 그런 내용들이고요. 이에 따라 피라미드의 기능이 분화가 되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피라미드가 가지고 있던 대표적인 기능 중에 무덤과 신전 기능이 제일 중요한데요. 이 중에서 무덤은 암묘, 바위산을 타고 들어간 암묘로 옮겨가고 신전 기능은 별도로 독립해서 신전이라는 별도의 건물로 등장을 하게 되는 거죠. 비디오에서 암묘 내용을 여기서 동영상으로 설명을 드리고 신전 기능, 중왕국 때의 신전 기능은 텍스트 원고에서 여러분들이 공부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암묘는 말 그대로 바위산, 바위산의 바위 속을 파고 들어가서 만든 무덤을 암묘라고 부릅니다. 암묘의 독특한 건축 특징 암묘에서 독특한 건축적인.. 아르카이크기의 신전 아르카이 크기의 신전 이런 과정을 거쳐서 그리스 신전이 탄생을 하게 되는데 그리스 신전은 크게 두 단계로 나눕니다. 첫 번째가 아르카이 크기, 두 번째가 고전기죠. 그래서 우리가 아는 대표적인 훌륭한 아름다운 신전들은 고전기 때 나오게 되는데 그 전 단계로서 아르카이 크기가 있었습니다. 아르카이 크기는 아직 신전이 완전히 다듬어지지 않고, 다듬어지는 과정으로 가는 중간 과정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그리스 신전 표준형의 세 가지 조건 그리스 신전의 표준형은 세 가지 조건입니다. 하나는 건물 전체가 일단 반듯한 사각형의 윤곽을 가져야 되고, 건물 본체 바깥으로 사면에 기둥 열들이 가지런히 배치가 되어야 되고요. 두 번째는 셀라라고 부르는 본체의 실내 부분입니다. 실내에서 기둥 열이 두열로 정리가 되면서 그 .. 미케네 건축의 형성과 특징 미케네 건축의 형성과 특징 미케네 문명에 대해서 먼저 간단히 살펴보면 기원전 1500년경에 드디어 그리스 본토에서 문명이 발생하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서진이 에게 해를 거쳐서 그리스 본토에 최초로 상륙을 한 것이죠. 그러나 그리스 본토 가운데에서도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먼저 상륙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 일대에 새로운 문명 세력이 등장을 해서 약 100여 년에 걸쳐서 크레타 섬의 미노아 문명을 정복하면서 에게 일대를 재패하게 됩니다. 이후 기원전 1400년경부터 200여 년 간 미케네 문명을 이루게 되고요. 그 이후에 다시 그리스 반도의 북쪽, 대륙 지방에서 내려온 도리스 족과 치열한 전쟁을 거치면서 패퇴하고 사라지게 됩니다. 전쟁, 전사 문명 이 미케네 문명은 또 하나의 대표적인 전쟁, 전사 문명이었습.. 미노아 건축의 특징 미노아 건축의 특징 미노아 문명에 대해서 먼저 잠깐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노아 문명은 에게 해 가운데에서도 크레타 섬을 중심으로 이 일대 여러 섬들에서 발달했던 문명입니다. 전형적인 바다, 해양 문명이죠. 그렇기 때문에 문명의 성격도 전쟁과 정복보다는 해양무역을 기반으로 한 자유로운 개인주의가 중심을 이루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까 힘에 의한 조절보다는 평화와 협력을 기반으로 한 조절이 발달을 했고 공동체 문화가 발달하게 됩니다. 그래서 행정과 수세. 즉, 세금을 걷는 것도 강력한 왕권에 의한 것이 아니라 상업주의에 기반 한 자발적 참여로 유지가 되었고요. 왕은 절대 권력을 휘두르는 통치자나 군사 사령관이 아니라 생산, 유통, 무역 등을 총지휘하는 경제적 감시자 혹은 조정자에 가까웠습니다. 이 .. 마스터바와 계단 형 피라미드 마스터 바와 계단 형 피라미드 먼저 이집트 문명에서 피라미드가 차지하는 위치, 이건 우리가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너무너무 피라미드가 우리한테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건축뿐만 아니라 이집트 문명 전체를 대표하는 그런 구조물이자 건축물이자 그냥 문명과 동의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피라미드가 이집트 문명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집트는 다원 종교였습니다. 그래서 굉장히 다양한 여신도 있었고, 식물식도 있었고, 태양신도 있었고. 그중에서 또 종교의 한 부분을 차지한 게 내세 사상입니다. 죽은 파라오가 여전히 내세에서도 통치를 하고 그 내용이 현세에서도 영향을 미친다는. 그래서 이 내세 사상의 산물이죠. 그래서 기본적으로는 무덤 구조입니다. 전쟁이 적었기 때문에 무덤이 .. 이전 1 2 다음